가비아 2차 하위 도메인 설정 카페24 호스팅 연결하기 방법

  카페24 접속 호스팅 관리 이동. 호스팅 관리 > 서비스 사용현황 이동. 화면 하단 > 서버아이피 확인. 가비아의 DNS에 입력할 서버아이피. 가비아 접속. My가비아 > 서비스 관리 이동. DNS 관리툴 선택. 도메인 선택. DNS 설정 선택. 레코드 추가 버튼 클릭. 입력값 선택 타입: A 호스트: 자신이 원하는 2차 하위 도메인 명칭. 예) abc.domain.com 일 경우 abc 입력. 값/위치: 카페24의 서버아이피 입력. 8번에서 확인

C# 콘솔앱 프로젝트 만들기 방법

이미지
C# 콘솔 애플리케이션를 만들기를 하려면 비주얼 스튜디오가 필요하다.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프로젝트 만들기를 통해 C#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프로젝트 생성이 가능하다. 보통, 윈도우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해 C#을 사용하지만, 최근엔 MacOS와 리눅스에서도 사용이 가능해 졌다. C# 프로젝트 만들기 순서 C# 콘솔앱은 까만 화면의 흰 글씨가 가득한 단순한 애플리케이션을 생각하면 된다. 보통, C# 문법을 익히기 위해 자주 사용되지만, 학습할 때는 지루하다. 다만, 저용량의 가벼운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 사용할 때는 유용하다. 아래는 C# 콘솔앱 프로젝트를 만들기 위한 순서를 보여준다. 비주얼 스튜디오 실행 좌측 상단 `파일` 메뉴 선택 `새로 만들기` 선택 `프로젝트` 선택 `콘솔 앱 ( .NET Framework )` 선택 `다음` 버튼 클릭 프로젝트 정보 입력 프로젝트 이름: StudyConsoleApp 위치: C:\study\csharp-console 프레임워크 선택: 4.7.2 `만들기` 버튼 클릭 프로젝트 생성 완료 상단 중앙 `시작` 버튼 클릭 실행화면 확인 따라하기 과정

AI 종류

AI 종류 [ 보기 ] Copilot [ 보기 ] ChatGPT [ 보기 ] Gemini [ 보기 ] Perplexity [ 보기 ] Claude [ 보기 ] Cue [ 보기 ] AIChat [ 보기 ] wrtn [ 보기 ] Convergence [ 보기 ] DeepSeek

스프링부트 Swagger API 설치하기 방법 / spring boot 3, swagger-ui

스프링부트를 사용하여 RESTful API를 만들었다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swagger를 사용하면 스프링부트에서 제작한 API를 관리하고, 문서화하며,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예전에는 API 테스트를 위해 별도의 페이지를 만들기도 하고, 오롯이 테스트를 위한 페이지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했다. 지금은 어떨까? swagger를 사용하면 스프링부트로 만들어진 API를 편하게 테스트하고 관리할 수 있다. Swagger API 문서, 설계 툴 ` swagger `는 대표적인 API 문서관리, 설계 툴이다. API를 만들고 관리한다면 한번쯤 사용해 봤을 것이다. 과거 우리 개발 선배들은  API를 제작하고 테스트를 위해 별도의 페이지를 만들고, 테스트를 했었다. 본인 또한 마찬가지였다. 지금은 어떨까? swagger를 설치하면 만들어진 모든 API를 한번에 보고, 관리하고, 테스트를 할 수 있다. 과거 API 테스트를 위해 삽질했던 모든 경험들이 주마등처럼 지나갔다. 구구절절 말이 많았으나, 이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에 Swagger API 툴을 설치해 보자. 스프링부트에 Swagger API 설치하기 과정 스프링부트에 Swagger API를 사용하려면 먼저 라이브러리를 import 해야 한다. 스프링부트에서 라이브러리를 import 하는 방법은 ` build.gradle ` 파일에 ` implementation ` 키워드를 사용하는 것이다. Swagger-ui 라이브러리는 ` maven repository ` 사이트를 참고하고, 링크는 아래에 연결해 두었다. [ MVN REPOSITORY - SpringDoc OpenAPI Starter WebMVC UI ].  아래는 스프링부트에 Swagger 라이브러리를 설치하는 과정을 작성해 보았다. IntelliJ를 실행한다. ` build.gradle ` 파일을 열기한다. ` Swagger ` 라이브러리를 추가한다. implementation group: 'org.springdoc', na...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만들기 방법 / 웹 애플리케이션 제작의 시작

스프링부트는 웹애플리케이션과 Rest API 제작에 주로 사용된다. 웹호스팅을 사용할 때도 스프링부트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도 사용 가능하다. 지금은 거의 필수로 익혀야 되는 백엔드 프레임워크 중 하나가 되었다. 스프링부트 애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해선 프로젝트 만들기부터 시작한다. 프로젝트 만들기 과정 인텔리제이( IntelliJ ) 실행. Welcome 화면 표시. New Project 버튼 클릭. Project 내용 입력. 좌측 메뉴 / Spring Boot 선택. Name 입력. Location 선택. Group, Artifact, Package Name 입력. Packaging 선택. cafe24 웹호스팅을 사용하려면 war 선택. Next 버튼 클릭. Dependencies 선택. Developer Tools > Lombok 선택. Web > Spring Web 선택. Template Engines > Thymeleaf 선택. Create 버튼 클릭.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과 설정. 화면 우측 상단 > 프로젝트 실행 버튼 클릭. 화면 하단 출력창 > Started ~ 메세지 확인. 웹브라우저 실행. Whitelabel Error Page 화면 표시 확인.

C# 콘솔 화면에 문자열 출력하기 방법 / Console.WriteLine

C#에서 화면에 문자열을 출력하는 방법으로 ` Console.WriteLine `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메서드는 단순히 문자열을 화면에 출력하는 것으로, 보통 디버깅 또는 로그적인 기능을 한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과정부터 특정 값까지 표현할 수 있기에, 단순하지만, 직관적이다. C# 문자열 출력 메서드 C#에서 문자열 출력 메서드는 ` Console.WriteLine ` 이다.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해당 메서드에 단순히 문자열 또는 변수값을 설정하고, 프로젝트를 실행하면 화면에 문자열로 표시된다. Console.WriteLine( 문자열 ); 전체코드 보기 이제 C#에서 문자열을 출력하기 위한 ` Console.WriteLine `을 사용해 보자. 아래는 `Console.WriteLine`을 사용한 전체코드이다. C# 콘솔앱 프로젝트를 생성했을 때의 코드에  메서드만 작성하였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ConsoleAppStudy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Say Hello ~ ♪, 헬로~ C#"); } } } .

NextJS React 새로운 프로젝트 생성하기 방법

NextJS는 React 기반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프레임워크이다. React 웹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새로운 방안으로 Meta에서 새롭게 제시되었다. React 기반의 프레임워크는 여러가지가 있다. NextJS를 이용할 경우 서버 사이드 렌더링, 정적사이트 구성과 라우팅 구현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프레임워크 생성을 위한 CNA 2025년 Meta는 공식적으로 React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생성 명령어 CRA 지원을 중단한다. CRA 는 npm create-react-app 명령어의 앞글자를 딴 축약어이며, React 웹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기 위한 프로젝트 생성을 위한 명령어이다. CRA는 지원 중단을 했지만,  보완적 수단으로 여거가지가 발표되었다. 본인의 경우 뜻하지 않게 2024년 중순부터 지켜본 것이 CNA이다. CNA 는 npx create-next-app  명령어로, React 기반의 NextJS 백엔드 개발을 가능하도록 도와준다. 여러가지 장점은 있겠지만, 글쎄 ~ 정확히 어떤 개발을 해 본적이 없기에 잘 모르겠다.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새롭게 나올 때마다 하는 말은 공통적이기 때문이다. 배우기, 개발하기, 적용하기 과거에 비해 쉬워졌다. 믿음은 가지 않지만, 경험자분들의 말에 따르면, 이전의 그것보다는 개발이 많이 수월해 졌다는 후문이다. NextJS React 프로젝트 생성 과정 npx create-next-app 무조건 엔터 연타 npm run build npm run dev http://localhost:3000